#Thesis review 3 (LCPA)
Thesis : The inference and Estimation for Latent Class Profile Analysis with Small Sample abstract Maximumlikelihood(ML)estimates forLatentClassProfileAnalysis(LCPA) are easily estimated by using the Expectation-Maximization(EM)algorithm and Bayesian method via MarkovChainMonteCarlo(MCMC). However, unusual properties in the likelihood can cause difficulties in the ML and Bayesian inference and e..
- Statistic Class/Latent Class Profile Analysis
- · 2024. 1. 6.
#Thesis review 3.1 LCPA
Thesis review :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 for Multivariate Latent Class-Profile Analysis Abstract 다변량 잠재 범주 경로 분석(Multivariate latent class Profile Analysis)은 LCA의 다변량 및 경시적 확장으로서, 다변량 잠재 범주들의 변화 패턴을 요약하여 모집단의 이질적 구조를 밝히는 모형 본 연구는 다변량 잠재 범주 경로 분석의 최대우도 추정과 베이지안 추정을 비교 최대우도추정은 EM알고리즘을 수행, 베이지안 추정의 경우 데이터 확장(Data-augmentation)을 통한 마르코프 연쇄 몬테카를로 방법(MCMC)으로 구현할 수 있다. MCMC를 통해 MLCPA모형을 추정할 때, L..
- Statistic Class/Latent Class Profile Analysis
- · 2023. 12. 19.